故 이장호 교수님: 한국 상담심리학의 거목



오늘은 한국 상담심리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故 이장호 교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교수님의 삶과 업적은 수많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장호 교수님은 누구인가?

이장호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특임교수로 재직하며 한국 상담심리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상담심리학계의 전설이자 최고 권위자'로 불릴 만큼, 교수님의 학문적 성과는 매우 독보적이었습니다. 교수님이 집필하신 상담심리학 관련 서적들은 국내 많은 대학에서 전공 교재로 활용될 정도였습니다.

학력 및 주요 경력

  • 학력
    • 미국 텍사스 대학교 상담심리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1968년 12월 15일 ~ 2001년 8월 31일)
    • 한국카운슬러협회 회장 역임
    • 한국심리학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 및 역서

이장호 교수님은 수많은 저서와 역서를 통해 한국 상담심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다지셨습니다. 다음은 교수님의 주요 저작물 목록입니다:

  • **상담면접의 기초: 마음을 성장시키는 대화** (공저) - 2024
  • **상담심리학** (공저) - 2023, 2014
  • **상담사례 공부하기** (공저) - 2018
  • **(집단지도자와 집단상담 경험자를 위한) 집단상담의 기초: 원리와 실제** (공저) - 2016
  • **집단상담: 원리와 실제** (공저) - 2015
  • **노인심리상담 연습** (공저) - 2014
  • **상담의 연구방법** (공저) - 2014
  • **현대심리치료**
  • **상담연습교본**
  • **상담사례연구집**

서울디지털대학교에서의 역할

이장호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퇴임 후에도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특임교수**로 학생들을 지도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셨습니다. 2014년 당시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는 이장호 교수님뿐만 아니라 원호택 교수, 이지영 학과장 등 국내 최고 수준의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원호택 교수는 “심리적인 불안이나 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다양한 임상 경험을 가진 교수진과 함께 학부생의 심리적 성숙은 물론 상담을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체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장호 교수님은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도 심리 상담 전문가 양성에 힘쓰며, 시공간 제약 없이 더 많은 사람이 상담심리학을 접할 수 있도록 기여하셨습니다.

별세 소식

故 이장호 명예교수님께서는 2025년 6월 4일 별세하셨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교수님의 학문적 열정과 인자한 가르침은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유족으로는 창환(서강대 심리학과 교수)님과 무진(서울광고 기획국장)님 두 분의 아드님이 계십니다. 발인은 6월 6일 오전 7시 순천향대병원에서 엄수되었습니다.

이장호 교수님은 한평생을 상담심리학의 발전과 전문가 양성에 헌신하며 한국 심리학계에 깊은 족적을 남기셨습니다. 교수님의 빛나는 업적을 다시금 되새기며, 이 글이 교수님을 기억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구글 광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석봉 - 광고심리학의 실전 적용을 위한 노력

성영신- 한국 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professor

최진영 - 서울대 임상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 심리학 석사 출신 웹서비스 기획자 겸 마케터

박은아 - 광고심리학의 대가

(어쩌다 어른) - 대중들을 심리학의 세계로 초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고성룡 교수: 언어심리학과 안구운동 연구의 선두주자

성용준 - 소비자광고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심리학 연구 모음 - 모바일게임, 기부, 환경오염, SNS

범죄심리학의 권위자, 이수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