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영신- 한국 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professor

성영신- 한국 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professor 





대한민국 소비자 심리학 역사에서 많은 유능한 제자들을 남긴 성영신 교수는 2019년 02월 13일 퇴직을 하였다.
모 신문사 인터뷰를 통해 " 학생들을 가르치며 행복한 인생을 살았다"라는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관심분야

소비자, 광고, 마케팅, 소비자행동

연구

논문명저널명발행연도이용수피인용수
명품 집착, 우울한 한국인의 초상지식의 지평20174210
한국의 소비자·광고 심리 연구: 내용분석으로 미래를 조망하다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81920
매스미디어가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 - 신뢰 특성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690
제품의 명화차용효과(art infusion effect): 명화의 유명도와 이미지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420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 조화성, 그리고 소비자 반응에 대한 이해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410
기부 설득에서 수혜자 특성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효과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3100
이타적 소비의 이면: 자기 이익과 타인 이익 추구의 균형 맞추기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3100
충동구매 심리: 구매 전 제품가치경험과 충동/절제 활성화의 역할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2170
수혜자의 표정과 기부 목적에 따른 기부 설득 효과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140
소닉로고의 브랜딩효과 연구: 소닉로고와 비주얼로고의 순서적 관계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130
기능적 제품군과 상징적 제품군에서제품품질-브랜드가치 불일치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110
‘소비자 미추구성향(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100
얼굴 매력도와 표정 정보 처리에 특정적으로 관련된 신경학적 기제들에 관한 fMRI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2010150
제품 디자인의 심리사회적 의미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1090
유머 민감성과 반복성 효과: 신경심리학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9170
아름다움의 심리적 권력: 성별, 영역별 미(美)권력 차이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990
유머 형성 요인과 반복성이 유머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경학적 기제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930
디자인 선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 연구: 뉴로이미징 기법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8380
지적 호기심의 심리적 메커니즘: 호기심 충족 방식에 따른 차이 비교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8120
긍정선택방식과 부정선택방식에 대한 소비자 인지 및 정서반응 비교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820
무의식적 구매결정의 심리적 메커니즘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770
효익 메시지의 위계성에 따른 광고 효과 -제품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720
광고로 바라본 21세기 과학: 1986~2004년 인쇄광고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550
공동마케팅에서의 브랜드 희석효과 연구 -제휴카드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530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470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확장된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소비자학연구200440
신(新)기술 제품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330
컴퓨터 호오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컴퓨터 이미지와 감정 경험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200200

Kim, B., Sung, Y. S., & McClure, S. M. (2012). The neural basis of cultural differences in delay discoun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7(1589), 650-656.

Sung, Y. S., CHOI, M. J., KIM, H. T., LEE, Y. S., & KIM, C. Y. (2011). Beyond visual experience: Brain activity reflecting sensory experiences implied by the product design.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53(4), 349-360.

Young Shin SUNG, Bo Kyung KIM, Joo Won LEE, Min SON and Kwang Yeol CHOI(2009). The beauty of product design is not enough to attract consumers mind. Journal of Kansei Engineering International, Vol. 8 No2

성영신, 이진용, 유창조, 박은아, 신은희, 백인기 (2013). 소비활동이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을까? ㅡ 소비유형별 소비활동, 소비행복, 삶의 행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8, 1-22.

성영신, 이응천, 최현덕, 김지연, & 민승기 (2012). 충동구매 심리: 구매 전 제품가치경험과 충동/절제 활성화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13(1), 1-23.

서적

  • 성영신 외 (2013). 뇌로 通하다, 21세기북스.
  • 성영신 외 (2009). 아름다움의 권력, 소울메이트.
  • 성영신 외 (2009). 하이트렌드(High trend): 디자인과 콘텐츠가 창조하는 기업의 미래, 21세기 북스.
  • 성영신 외 (2004). 마음을 움직이는 뇌, 뇌를 움직이는 마음, 북하우스.

구글 광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석봉 - 광고심리학의 실전 적용을 위한 노력

최진영 - 서울대 임상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 심리학 석사 출신 웹서비스 기획자 겸 마케터

박은아 - 광고심리학의 대가

(어쩌다 어른) - 대중들을 심리학의 세계로 초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고성룡 교수: 언어심리학과 안구운동 연구의 선두주자

성용준 - 소비자광고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심리학 연구 모음 - 모바일게임, 기부, 환경오염, SNS

범죄심리학의 권위자, 이수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