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광고심리학자인 게시물 표시

김재휘 -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이미지
  학력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심리학 학사 동경대학교 심리학과 사회 심리학 석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심리학 학사 이력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한국심리학회 회장, 한국소비자학회 회장 한국광고학회,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한국마케팅학회 등 활동 주요 분야 광고 심리학, 소비자 심리학 저서 김재휘 외(공역).  2014.  소비자 심리학 .  시그마프레스 . 김재휘 . 2013.  설득 심리 이론 . CommunicationBooks. 김재휘 외(공저). 2 009.  광고심리학 . CommunicationBooks. 김재휘 외(공저) . 2008.  네트가 바꾸는 소비행동 .  일본  NTT. 김재휘 . 2004.  광고와 심리 .  한국방송 광고공사 . 더 알고 싶은 심리학 김재휘(중앙대 심리학과 교수), 김경일(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김영훈(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김지호(경북대 심리학과 교수), 김학진(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나진경(서강대 심리학과 교수), 양난미(경상대 심리학과 교수), 이병관(광운대 산업심리학과 교수),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이은경,(명지대 청소년지도학과 교수) 조양석(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최영은(중앙대 심리학과 교수), 최인철(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최진영(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최훈(한림대 심리학과 교수), 허태균(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활동 김재휘, 김태훈, & 박인희. (2010). 예방행동의 결과를 얻는 시점에 따른 효과적인 설득 메시지 유형: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  11 (3), 451-474. 김재휘, & 부수현. (2007). 희소성 메시지와 프레이밍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8(2), 183-204. 박유진, & 김재휘. (2005).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과 ...

지용현(Jeeyonghyeon) 심리학 연구 모음 - 모바일게임, 기부, 환경오염, SNS

이미지
지용현(Jee yonghyeon) 연구 성과 지용현은 총 4편의 KCI 등재 학술지에 연구가 등재되어 있으며, 학위논문 1편을 제출하였다. 연구의 주제는 SNS에서의 소비자 행동 2편, 친환경 소비에대한 연구 1편, 모바일 게임에 대한 연구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술지 게재 연구 모바일 게이머의 재미경험과 사용의도 형성의 영향요인: 성취목표지향성과 게임수행방식의 상호작용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Fun and Use Intention of Mobile Games: Focusing on Gam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ypes of Gameplay 등재지 : KCI등재지 -  서비스마케팅학회 저자 : 박은아, 지용현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모바일 게임시장에서 자동사냥 방식의 게임들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게이머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게임수행방식에 따라 지각된 재미와 사용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 (성취목표지향성: 숙달목표지향/ 수행목표지향)2(게임수행방식: 자동수행/직접수행)의 피험자간 설계 로 구성하고, 20~30대 참가자 299명을 대상 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응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측정값에 따라 숙달목표지향성 집단과 수행목표지향성 집단으로 구분한 후, 자동수행방식과 직접수행방식 중 평소 더 많이 하는 게임방식 조건에 할당하여 게임시나리오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지각된 재미의 주효과가 유의하여 자동수행방식보다 직접수행방식 조건의 지각된 재미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과 게임수행방식에 따른 상호작용이 유의미해서, 숙달목표지향성이 높은 게이머는 자동수행 조건에서보다 직접수행 조건에서 지각된 재미와 사용의도가 높았고, 수행목표지향성이 높은 게이머는 직접수행 조건보다 자동수행 조건에서 지각된 재미와 사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용현(jeeyonghyeon) - 심리학 석사 출신 웹서비스 기획자 겸 마케터

이미지
  개요 지용현은 충북 충주시 출생으로 대구에서 물리학과, 심리학과 학사 학위 취득 후 심리학 석사를 취득하고 현재 IT 기업의 마케터로 활동 중 이다. 충주대원고등학교에서 이과로 졸업하고, 물리학과로 진학한 뒤, 심리학을 복수 전공하며, 대학원을 심리학을 진학하며, SNS, 친환경, 모바일 게임 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 등을 연구 하였다. 최종학력  심리학 석사 학위(세부 전공 : 광고심리학) 지도교수 :  박은아 지용현은 석사 과정 동안 광고 메시지 유형, 공간적 거리, SNS 반응 메커니즘 등 광고 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좋아요 수’, ‘게시물의 방향성’ 등 실제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비자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높은 인용도를 보이고 있다. 지용현 연구 활동 내역 지용현은 석사 과정 동안 다수의 학술지 논문을 단독 또는 공동 저자로 게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재미 경험 및 사용 의도 형성 요인, 환경오염지역의 공간적 거리와 메시지 유형에 따른 친환경 광고의 설득 효과 등이 있으며, 이는 모두 디지털 환경 속 소비자 반응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또한 SNS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좋아요 수’와 게시글의 방향성(긍정 vs 부정)이 소비자 인지 및 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 분석한 논문은, 실제 광고 실무에 있어서도 콘텐츠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된다. 국내 주요 심리학회 연차대회 및 국제 컨퍼런스에도 다수의 포스터 발표를 하며 연구자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 ‘지용현 심리학’, ‘지용현 연구논문’, ‘지용현 학술 발표’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이와 관련된 연구 이력 확인이 가능하다. 학회 게제 연구 박은아, 지용현 . (2020). 모바일 게이머의 재미경험과 사용의도 형성의 영향요인 : 성취목표지향성과 게임수행방식의 상호작용 . 서비스마케팅저널, 13(2), 111-124. 지용현 , 박은아. (2020). 환경오염지역의 공...

박은아 - 광고심리학의 대가

이미지
방송 출연 주요분야 박은아교수의 주요 분야는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이다. 학력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전공 경력 2020 KMOOC 최우수강의자 부총리겸 교육부장관상 수상, 2019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학술상 수상 2018 K-MOOC 소비자행동의 심리학 개설 2010 한국소비자학회 편집위원 2007~ 한국광고학회 이사 2006~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이사, 발전기획위원장, 학술위원장 2006~ 대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2004~2006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소 연구위원 2002~2004 광운대학교 디지털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저서 소비자행동의 심리  저[著] 광고모델의 신체이미지와 광고효과  저[著] 한국인의 미디어와 소비 트렌드  공저 아름다움의 권력(심리학이 해부한 아름다움의 힘)  공저 광고심리학  공저 연구활동 청소년 친환경 행동실태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은아]>, <김은철>그들은 왜 중고제품을 구매하는가?: 청소년과 성인의 중고거래 관련요인 비교이화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논총37p.52021.04.30 <[박은아]>, <김영훈>유튜버‘ 뒷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채널몰입과 자기해석에 따른 불만표출행동 차이한국심리학회한국심리학회 2021연차학술대회1p.12021.08.20 [박은아], <[지용현]>, <우연후>Should Recipients Smile Or Not? : Interactions with the Time of DonationICP 2020+ICP 2020+ 온라인1p.12021.07.21 <[박은아]>, <[지용현]>모바일 게이머의 재미경험과 사용의도 형성의 영향요인: 성취목표지향성과 게임수행방식의 상호작용서비스마케팅학회서비스마케팅저널13p.1112020.12.31 <[박은아]>, <[지용현]>환경오염지역의 공간적 ...

구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