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심리학자인 게시물 표시

사회심리학자 최훈석

이미지
  안녕하세요! 우리 삶에 깊이 뿌리내린 심리학적 통찰을 찾아 헤매는 여러분께, 오늘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사이트가 소개할 분은 바로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최훈석 교수님입니다. 사회심리학 분야의 권위자이자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고 계신 분이죠. 최훈석 교수님은 집단심리, 갈등 해결, 팀 창의성 등 사회심리학의 핵심 주제들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나아가 사회적 재난 치유, 공동체 회복과 같은 실천적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계십니다. 특히 "사회적 재난의 치유란 마을이 함께 불을 끄는 일"이라는 메시지에서 그의 철학이 고스란히 묻어납니다. 이 글을 통해 최훈석 교수님의 학력, 경력, 저서, 주요 연구 분야는 물론, 학생들에게 실패와 체험을 통한 성장을 강조하는 그의 교육 철학까지, 다채로운 면모를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학부 강의에서는 현대 사회 이슈를 접목한 실생활 사례 설명으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계시다고 하니, 그의 강의를 통해 사회심리학에 입문하고 싶었던 분들이라면 더욱 주목해주세요! 🧠 최훈석 교수 프로필 요약 소속 :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공 : 사회심리학 연구실 : 교수회관 40416호 이메일 : hchoi@skku.edu 전화 : 02) 760-0494 📚 학력 및 약력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University of Pittsburgh 박사 (전공: 사회심리학) 🏢 경력 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Fellow 및 겸임조교수 University of Ottawa, School of Management, 조교수 Public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Canada, 교육위원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지 편집장 (2007~) 외교통상부 외교역량평가 자문위원 (2006~) 중앙...

언어심리학자 고성룡

이미지
  1. 개요 이름 : 고성룡 (Koh Sung‑Ryong) 소속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공 분야 : 언어심리학, 안구운동 기반 언어처리, 형식 의미론, HCI, 언어장애 연락처 : koh@snu.ac.kr , 16동 M505호, ☎ 02‑880‑9107 2. 학력 및 경력 📘 학위 : Ph.D. (2001), M.A. (199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심리학) 서울대학교 학사(1987), 석사(1989) (심리학) 🎓 학력 연도 학교 및 전공 2001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h.D. in Psychology) 199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M.A. in Psychology) 1989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1987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 경력 : 2013.3–현재: 서울대 교수 2008.4–2013.2: 서울대 부교수 2004.2–2008.3: 서울대 조교수 2002.10–2004.1: 경상대 전임강사 2001.12–2002.9: 성균관대 BK21 연구원 2000.9–2001.8: KAIST 전산학과 연구원 🏢 주요 경력 기간 기관 직위 2013.03 – 현재 서울대학교 교수 2008.04 – 2013.02 서울대학교 부교수 2004.02 – 2008.03 서울대학교 조교수 2002.10 – 2004.01 경상대학교 전임강사 2001.12 – 2002.09 성균관대학교 BK21 박사 후 연구원 2000.09 – 2001.08 KAIST 전산학과 박사 후 연구원 📖 주요 저서 Koh, S. et al. (in progress). Good-enough representation in plural and singular pronominal reference . Oxford University...

사회심리학 저자 최인철

이미지
  사회심리학 저자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전공 분야 : 사회심리학 최인철 교수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 입학한 뒤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탐구하는 심리학의 매력에 이끌려 심리학과에 재입학, 서울대 심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이후 미국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at Ann Arbor)에서 사회심리학 석사(M.A.) 및 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서 과학적 실증을 바탕으로 한 인간 심리, 행복, 문화 인지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3년 한국심리학회로부터 ‘소장학자상’을 수상하였으며, 학술지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의 부편집위원장을 역임했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 프레임 』, 『프레젠트』,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등이 있으며, 『생각의 지도』와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등의 번역서도 출간하였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 이후의 심리 변화, 행복의 개인차 요인, 의사결정과 정서 반응, 장내 미생물과 웰빙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문화와 인지 :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 차이 긍정심리학 : 행복의 원인, 증진 방법 사회 인지 및 의사 결정 : 선택, 판단, 정서적 반응 등 담당 강의 사회심리학 및 실험 비교문화심리학 현대사회와 심리 고급사회심리학 태도와 사회인지 사회심리학의 주요 문제 📌 국내 저널 및 단행본 김가람, 정세원, 최인철, & 최은수. (2023). 한국인의 지루함: 일상에서의 경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7 (2), 189–213. 김영주, 차승은, ...

고성룡 교수: 언어심리학과 안구운동 연구의 선두주자

이미지
고성룡교수는 현직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 처리, 형식 의미론, 안구 운동 응용, Human-Computer Interface, 언어 장애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이 동화와 설명글을 읽을 때의 안구 운동 양상을 살펴본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우리말 환경에서 처음으로 어절 길이, 낱말 빈도, 착지점에 따른 안구 운동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측정한 결과물이다. 아동들은 동화를 읽을 때 평균적으로 어절을 213밀리초간 주시한 후 약 3.6자 이동했고, 설명글을 읽을 때는 214밀리초 동안 보다가 약 3.3자 이동했다. 재주시(되돌아보기)는 전체의 약 31%를 차지했고, 긴 어절을 더 오래 바라보며 어절 중심에 가까운 지점을 착지하는 경향이 관찰됐다. 이런 세밀한 연구를 수행한 이가 바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의 고성룡 교수다. 누구인가? 고성룡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지과학과 언어심리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인간의 언어 처리 과정과 신체 반응을 기반으로 한 심리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해왔다. 학력과 경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에서 언어심리학 석사(M.A.)와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이후 KAIST, 성균관대, 경상대학교를 거쳐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는 정교수로 활동 중이다. 세부 전공과 강의 그의 세부 전공은 언어심리학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 처리, 형식 의미론, 안구 운동 응용, Human-Computer Interface, 언어 장애 등이다.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인지과정 및 실험, 언어심리학 및 실험, 고급 인지심리학, 고급 언어심리학을 강의하고 있다. 연구 활동과 업적 고성룡 교수의 연구는 인간의 언어 이해 과정에서 실제 신체 반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안구 운동 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문장이나...

범죄심리학의 권위자, 이수정 교수

이미지
이수정 교수는 국내 범죄심리학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가로, 강력범죄 분석과 범죄 예방 연구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녀의 연구와 활동을 통해 범죄 심리학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을 조명해보겠습니다. 본 글에선 이수정 교수의 정치적 견해를 지지하거나 동의하지 않으며, 그저 심리학자로서의 내용만을 담았습니다. 1. 이수정 교수는 누구인가? 이수정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범죄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현재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그녀는 강력범죄 사건 분석과 범죄 예방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특히 성범죄 및 여성 대상 범죄의 심리적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2. 학력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사회심리학과 석사 미)아이오와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박사 3. 연구 및 학문적 업적 이수정 교수는 범죄심리학, 범죄 예방, 재범 방지 등의 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대표적인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쇄살인범의 심리 분석과 행동 패턴 연구 성범죄자의 재범 위험성과 교정 프로그램 개발 디지털 범죄 및 스토킹 범죄의 심리적 접근 미성년자 대상 범죄의 예방과 법적 대응 방안 그녀의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정책 입안과 범죄 수사에도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4. 주요 저서 및 논문 이수정 교수는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하며 범죄심리학의 대중화에도 힘써 왔습니다.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왜 나는 범죄자가 되었나』 – 범죄자의 심리와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책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어둠 속에 있다』 – 우리 사회 속 잠재적 범죄자의 심리적 특징을 분석 『범죄심리학』 – 학문적 이론과 실제 범죄 사례를 결합한 연구서 또한, 여러 논문을 통해 범죄심리학 연구를 학계에 기여하며, 경찰과 법률 전문가들이 범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 사회적 활동 및 공...

구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