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어른) - 대중들을 심리학의 세계로 초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김경일 교수는 인간의 판단, 의사결정, 문제해결 그리고 창의성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온 한국의 대표적인 인지심리학자입니다. 그는 학문적 연구에만 머무르지 않고 '어쩌다 어른'을 비롯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과 전국 각지에서의 강연을 통해 심리학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특히 중앙심리부검센터장을 역임하며 한국의 자살 문제 해결에 공헌했으며, 게임문화재단 이사장으로서 게임과 관련된 심리학적 연구도 이끌고 있습니다.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사고 과정, 지각, 기억, 언어, 문제해결 등 정신적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 김경일 교수는 이 분야에서 인간의 의사결정 패턴과 창의성의 발현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해왔습니다.

관심 분야

  • 인지심리학: 추론, 판단, 의사결정, 창의성
  • 최근에는 4차산업혁명, 메타버스, 게임, 피드백 사이언스 등 미래사회 역량 관련 연구

학력

  • 박사: 미국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University of Texas Austin), 2005년
  • 석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1995년
  • 학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1993년

이력

  • 현)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 현) 게임문화재단 이사장
  • 현) 아주대학교 창의력 연구센터장
  • 현) 게임과학연구원장
  • 전) 중앙심리부검센터장 (2014-2015)
  • 전) 한국음악지각인지학회장
  • 전) 아주대학교 입학사정센터장
  • 전) 삼성HR 자문 교수

저서

  • 마음의 지혜 (2023)
  •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2022)
  • 적정한 삶 (2021)
  • 0.1%의 비밀 (공저, 2020)
  • 이제 지난 성공의 기억과 이별할 때 (공저, 2020)
  • 코로나 사피엔스 (공저, 2020)
  • 심리학의 이해 (공저, 2019)
  • 십대를 위한 공부사전 (2018)
  • 어쩌면 우리가 거꾸로 해왔던 것들 (2018)
  • 지혜의 심리학 (2017)
  • 이끌지 말고 따르게 하라 (2015)

연구

  • 연구 분야: 추론, 판단과 의사결정, 문제해결, 창의성, 심리부검 및 범죄/자살 언어분석
  • 대표 논문:
    • 살인범의 글에 나타난 언어·심리적 특성과 성격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2012)
    • How do experts and novices differ? Relation versus attribute and thinking versus feeling in language use (2011)
    •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2007)
    • Self-construal and the processing of covariation information in causal reasoning (2007)
    • Preference and the specificity of goals (2007)


연구 활동


구분 연도 제목 저자 학술지명
논문 2024 한국형 심리부검 매뉴얼(K-PAM) 개발과 타당화 연구 박소향(제1), 김경일, 서동기, 육성필, 서종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논문 2024 The Impact of Resource Scarcity on Self-Efficacy: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ontrol 원윤하(제1), 김경일, 홍석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논문 2023 게임에서 결과/과정 초점 유형과 디바이스에 따른 동기와 수행차이 김경일(제1), 김세나, 문익현, 신승원, 이나연, 최연호, 홍석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논문 2023 Negative emotion can be “more negative” for those with high metacognitive abilities when problem-solving 홍석성(제1), 김경일, Lisa Son, 배진희 Frontiers in Psychology
논문 2020 Gratitude Really Enhances Work Engagement through Reduced Perception of Damage Bojindra Prasad Tulachan(제1), 조영호, 김태훈, 김경일* The Open Psychology Journal
논문 2019 Differences in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notes and diaries 김경일(제1), 최선희, 서종한, 이주형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학술회의 2025 진단 상황에서 정보와 지식이 정보 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HEXACO 성격 특성에 따른 한국과 미국의 비교 홍석성(제1), 김경일 제62회 인지및생물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학술회의 2024 자가진단을 통해 알아본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 지식과 경험, 그리고 정보 홍석성(제1), 김경일 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학술회의 2023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연결성: 피드백의 역할 김경일 제77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학술회의 2023 미래사회의 소통: 게임적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김경일 2023 International Symposium "Game on Culture"
학술회의 2021 Post corona - Media dealing with the warmth of contact. 김경일 World Journalists Conference 2021

구글 광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우석봉 - 광고심리학의 실전 적용을 위한 노력

성영신- 한국 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professor

최진영 - 서울대 임상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 심리학 석사 출신 웹서비스 기획자 겸 마케터

박은아 - 광고심리학의 대가

고성룡 교수: 언어심리학과 안구운동 연구의 선두주자

성용준 - 소비자광고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심리학 연구 모음 - 모바일게임, 기부, 환경오염, SNS

범죄심리학의 권위자, 이수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