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심리학자 고성룡

 


1. 개요

  • 이름: 고성룡 (Koh Sung‑Ryong)

  • 소속: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전공 분야: 언어심리학, 안구운동 기반 언어처리, 형식 의미론, HCI, 언어장애

  • 연락처: koh@snu.ac.kr, 16동 M505호, ☎ 02‑880‑9107


2. 학력 및 경력

  • 📘 학위:

    • Ph.D. (2001), M.A. (199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심리학)

    • 서울대학교 학사(1987), 석사(1989) (심리학)


🎓 학력

연도학교 및 전공
2001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h.D. in Psychology)
1995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M.A. in Psychology)
1989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1987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 🏫 경력:

    • 2013.3–현재: 서울대 교수

    • 2008.4–2013.2: 서울대 부교수

    • 2004.2–2008.3: 서울대 조교수

    • 2002.10–2004.1: 경상대 전임강사

    • 2001.12–2002.9: 성균관대 BK21 연구원

    • 2000.9–2001.8: KAIST 전산학과 연구원



🏢 주요 경력

기간기관직위
2013.03 – 현재서울대학교교수
2008.04 – 2013.02서울대학교부교수
2004.02 – 2008.03서울대학교조교수
2002.10 – 2004.01경상대학교전임강사
2001.12 – 2002.09성균관대학교BK21 박사 후 연구원
2000.09 – 2001.08KAIST전산학과 박사 후 연구원

📖 주요 저서

  • Koh, S. et al. (in progress). Good-enough representation in plural and singular pronominal r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 조명한 외, 고성룡 포함 (2003). 언어심리학. 학지사.


📝 주요 논문 (대표 논문 5편)

  1. Koh, S. & Clifton, C. (2002). Resolution of the antecedent of a plural pronou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6, 830–844.

  2. Frazier, L., Clifton, C., Rayner, K., Deevy, P., Koh, S., & Bader, M. (2005). Interface problems.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34(3), 201–231.

  3. 고성룡 외 (2010). 어린이 글읽기에서 나타나는 안구운동의 특징. 인지과학, 21(4), 481–503.

  4. 고성룡 외 (2008). 우리글 명사 어절에서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20(1), 21–37.

  5. 김영삼, 고성룡 (2007). “면서” 구문을 통해 본 관형절 처리 전략: 안구운동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9(3), 233–249.


🔍 특이사항

  • 국내 언어심리학 분야 선도 학자 중 한 명으로, 특히 한국어 문장처리안구운동 기반 실험을 접목한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냄

  • 언어와 인지의 상호작용에 관한 학제적 연구 및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응용에도 깊은 관심을 보임


3. 연구 분야 및 주요 논문 요약

연구 분야

  • 언어처리 & 형식 의미론: 문장 내 중의성 해소, 대명사 선행사 결정

  • 안구운동 실험: 한국어 읽기 특성, 단어 빈도 및 착지점 효과

  • HCI & 언어장애: 읽기장애 아동 인지 특성 및 HCI 기반 지원 시스템

대표 논문 요약

  1. Resolution of the antecedent of a plural pronoun (2002): 복수 대명사 선행사 지정에서 존재 범주와 구문 대칭성이 미치는 영향 분석.

  2. Interface problems: Structural constraints on interpretation (2005): 문장 구조가 해석에 미치는 제한 효과.

  3. 어린이 글읽기에서 나타나는 안구운동의 특징 (2010): 읽기 부진 아동 vs 일반 아동의 안구운동 패턴 비교 kci.go.kr+8m.riss.kr+8psych.snu.ac.kr+8psych.snu.ac.kr+1psych.snu.ac.kr+1psych.snu.ac.kr+3store.kyobobook.co.kr+3psych.snu.ac.kr+3psych.snu.ac.kr+3psych.snu.ac.kr+3psych.snu.ac.kr+3m.riss.krdongsunyim.com.

  4.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 추적 연구 (2008): 고빈도/저빈도 단어 처리 과정의 시간 차이 분석 psych.snu.ac.kr+2m.riss.kr+2cms.dankook.ac.kr+2.

  5. 어절 길이・착지점 효과 (2007): 한국어 문장 읽기 시 어절 길이, 착지점 위치, 단어 빈도가 안구운동에 미치는 영향 dbpia.co.kr+7psych.snu.ac.kr+7m.riss.kr+7.

  6. 어휘적・통사적 중의성 해소 (박사논문): 성인과 아동이 중의성을 해소하는 안구운동 패턴 차이 kci.go.kr+7m.riss.kr+7psych.snu.ac.kr+7.


4. 연구 개념 설명

  • 안구운동 실험(Eye-tracking): 문장 읽기 시 고정시간, 착지점, 재고정률 등을 측정해 실시간 언어처리 확인

  • 단어 빈도 효과: 고빈도 단어는 더 빠르게 처리되며, 저빈도 단어는 더 오래 체류하여 재확인 필요 psych.snu.ac.kr+8cms.dankook.ac.kr+8m.riss.kr+8

  • 중의성 해소(Ambiguity Resolution): 중의 문장 해석 시 우세 의미 우선 활성화 후 필요 시 재분석

  • HCI 응용: 안구운동 기반 외국어 학습 도구로 미인지 단어 자동 제공 시스템 m.riss.kr

  • 언어장애 연구: 읽기부진・언어장애 아동은 읽기 처리 지연, 고정시간·횟수 증대 패턴 보임 m.riss.kr+2dongsunyim.com+2cms.dankook.ac.kr+2


5. 강의 및 자기소개서 예문

담당 강의

  • 인지과정 및 실험

  • 언어심리학 및 실험

  • 고급 인지심리학

  • 고급 언어심리학

자기소개서 문장 예시

  • “저는 고성룡 교수님의 단어 빈도 효과와 안구운동 연구를 통해 한국어 실시간 언어처리 과정을 깊이 이해하고자 지원했습니다.”

  • “HCI 기반 언어학습 도구를 개발하시는 교수님의 연구 방향에 맞춰, 안구운동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개선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 “읽기부진 및 언어장애 아동의 실시간 처리 특성에 대한 교수님의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평가 도구를 설계하고자 합니다.”


6.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현직 교수진

현재 11명의 주요 교수진이 활동 중입니다 psych.snu.ac.krpsych.snu.ac.kr+4cms.dankook.ac.kr+4m.riss.kr+4counsel.sdu.ac.kr:

이름전공연락처
고성룡언어심리학koh@snu.ac.kr
김가원조직심리학kawon@snu.ac.kr
김향숙임상심리학hyangkim@snu.ac.kr
박주용인지심리학jooypark@snu.ac.kr
안우영임상심리학wahn55@snu.ac.kr
오성주지각심리학songjoo@snu.ac.kr
이수현인지신경과학suehlee@snu.ac.kr
이해연발달심리학haeyeon.lee@snu.ac.kr
이훈진임상상담심리학hjlee83@snu.ac.kr
차지욱신경과학connectome@snu.ac.kr
최인철사회심리학ichoi@snu.ac.kr
최진영임상신경과학jychey@snu.ac.kr
한소원인지심리학swhahn@snu.ac.kr

구글 광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영신- 한국 심리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professor

우석봉 - 광고심리학의 실전 적용을 위한 노력

최진영 - 서울대 임상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 심리학 석사 출신 웹서비스 기획자 겸 마케터

박은아 - 광고심리학의 대가

(어쩌다 어른) - 대중들을 심리학의 세계로 초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고성룡 교수: 언어심리학과 안구운동 연구의 선두주자

성용준 - 소비자광고심리학

지용현(Jeeyonghyeon) 심리학 연구 모음 - 모바일게임, 기부, 환경오염, SNS

김재휘 -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