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저자 최인철
사회심리학 저자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전공 분야: 사회심리학
최인철 교수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 입학한 뒤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탐구하는 심리학의 매력에 이끌려 심리학과에 재입학, 서울대 심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이후 미국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at Ann Arbor)에서 사회심리학 석사(M.A.) 및 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서 과학적 실증을 바탕으로 한 인간 심리, 행복, 문화 인지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3년 한국심리학회로부터 ‘소장학자상’을 수상하였으며, 학술지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의 부편집위원장을 역임했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프레임』, 『프레젠트』,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등이 있으며, 『생각의 지도』와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등의 번역서도 출간하였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 이후의 심리 변화, 행복의 개인차 요인, 의사결정과 정서 반응, 장내 미생물과 웰빙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문화와 인지: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 차이
-
긍정심리학: 행복의 원인, 증진 방법
-
사회 인지 및 의사 결정: 선택, 판단, 정서적 반응 등
담당 강의
-
사회심리학 및 실험
-
비교문화심리학
-
현대사회와 심리
-
고급사회심리학
-
태도와 사회인지
-
사회심리학의 주요 문제
📌 국내 저널 및 단행본
-
김가람, 정세원, 최인철, & 최은수. (2023). 한국인의 지루함: 일상에서의 경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7(2), 189–213.
-
김영주, 차승은, 구자일, & 최인철. (2023). 선거와 행복: 20대 대통령 선거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7(1), 1–21.
-
주진영, 최인철, & 권유리. (2024). 루틴은 일 중심성에 따른 직무 소진과 행복 저하를 개선한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8(2), 111–122.
-
최인철, 최종안, 김영주, 김남희, 정민화. (2024).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의 행복 리포트. 21세기북스.
📌 국제 저널
-
Cha, S. E., Ku, X., Lee, S. S., & Choi, I. (2024). Seizing and freezing to life outcomes: Need for cognitive closure intensifies affective reactions to major events. Motivation and Emotion, 1–15. https://doi.org/10.1007/s11031-024-10058-1
-
Hong, E. K., Kim, J., & Choi, I. (2023).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When happiness is viewed as changeable, happy people are perceived much more positively than unhappy peop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https://doi.org/10.1177/01461672231184711
-
Ku, X., Lee, S. H., & Choi, I. (2023). Did COVID‐19 really change our well‐being? It's up to meaning in life: Evidence from two longitudinal studie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e12799. https://doi.org/10.1111/spc3.12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