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5의 게시물 표시

故 이장호 교수님: 한국 상담심리학의 거목

이미지
오늘은 한국 상담심리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故 이장호 교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교수님의 삶과 업적은 수많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장호 교수님은 누구인가? 이장호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특임교수로 재직하며 한국 상담심리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상담심리학계의 전설이자 최고 권위자'로 불릴 만큼, 교수님의 학문적 성과는 매우 독보적이었습니다. 교수님이 집필하신 상담심리학 관련 서적들은 국내 많은 대학에서 전공 교재로 활용될 정도였습니다. 학력 및 주요 경력 학력 미국 텍사스 대학교 상담심리학 전공 박사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주요 경력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1968년 12월 15일 ~ 2001년 8월 31일) 한국카운슬러협회 회장 역임 한국심리학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 및 역서 이장호 교수님은 수많은 저서와 역서를 통해 한국 상담심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다지셨습니다. 다음은 교수님의 주요 저작물 목록입니다: **상담면접의 기초: 마음을 성장시키는 대화** (공저) - 2024 **상담심리학** (공저) - 2023, 2014 **상담사례 공부하기** (공저) - 2018 **(집단지도자와 집단상담 경험자를 위한) 집단상담의 기초: 원리와 실제** (공저) - 2016 **집단상...

사회심리학자 최훈석

이미지
  안녕하세요! 우리 삶에 깊이 뿌리내린 심리학적 통찰을 찾아 헤매는 여러분께, 오늘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사이트가 소개할 분은 바로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최훈석 교수님입니다. 사회심리학 분야의 권위자이자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고 계신 분이죠. 최훈석 교수님은 집단심리, 갈등 해결, 팀 창의성 등 사회심리학의 핵심 주제들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나아가 사회적 재난 치유, 공동체 회복과 같은 실천적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계십니다. 특히 "사회적 재난의 치유란 마을이 함께 불을 끄는 일"이라는 메시지에서 그의 철학이 고스란히 묻어납니다. 이 글을 통해 최훈석 교수님의 학력, 경력, 저서, 주요 연구 분야는 물론, 학생들에게 실패와 체험을 통한 성장을 강조하는 그의 교육 철학까지, 다채로운 면모를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학부 강의에서는 현대 사회 이슈를 접목한 실생활 사례 설명으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계시다고 하니, 그의 강의를 통해 사회심리학에 입문하고 싶었던 분들이라면 더욱 주목해주세요! 🧠 최훈석 교수 프로필 요약 소속 :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공 : 사회심리학 연구실 : 교수회관 40416호 이메일 : hchoi@skku.edu 전화 : 02) 760-0494 📚 학력 및 약력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University of Pittsburgh 박사 (전공: 사회심리학) 🏢 경력 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Fellow 및 겸임조교수 University of Ottawa, School of Management, 조교수 Public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Canada, 교육위원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지 편집장 (2007~) 외교통상부 외교역량평가 자문위원 (2006~) 중앙...

언어심리학자 고성룡

이미지
  1. 개요 이름 : 고성룡 (Koh Sung‑Ryong) 소속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공 분야 : 언어심리학, 안구운동 기반 언어처리, 형식 의미론, HCI, 언어장애 연락처 : koh@snu.ac.kr , 16동 M505호, ☎ 02‑880‑9107 2. 학력 및 경력 📘 학위 : Ph.D. (2001), M.A. (199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심리학) 서울대학교 학사(1987), 석사(1989) (심리학) 🎓 학력 연도 학교 및 전공 2001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h.D. in Psychology) 199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M.A. in Psychology) 1989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1987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 경력 : 2013.3–현재: 서울대 교수 2008.4–2013.2: 서울대 부교수 2004.2–2008.3: 서울대 조교수 2002.10–2004.1: 경상대 전임강사 2001.12–2002.9: 성균관대 BK21 연구원 2000.9–2001.8: KAIST 전산학과 연구원 🏢 주요 경력 기간 기관 직위 2013.03 – 현재 서울대학교 교수 2008.04 – 2013.02 서울대학교 부교수 2004.02 – 2008.03 서울대학교 조교수 2002.10 – 2004.01 경상대학교 전임강사 2001.12 – 2002.09 성균관대학교 BK21 박사 후 연구원 2000.09 – 2001.08 KAIST 전산학과 박사 후 연구원 📖 주요 저서 Koh, S. et al. (in progress). Good-enough representation in plural and singular pronominal reference . Oxford University...

구글 광고